본문 바로가기

진료 및 민원안내

예방접종안내

  • 홈 아이콘
  • 진료 및 민원안내
  • 예방접종
  • 예방접종안내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
  • 성주군 페이스북바로가기
  • 성주군 트위터바로가기

예방접종 전후의 주의사항

예방접종의 일반적인 금기사항
  • 급성열성환자
  • 급성기 또는 활동기에 있는 심혈관 질환, 간장질환, 신장질환
  • 홍역, 볼거리, 수두 감염시에는 1개월이상 경과 후 접종
  • 면역 억제치료(스테로이드와 방사선 치료를 포함)를 받고 있는 경우
  • 최근 3개월 이내에 감마글로불린이나 혈청주사를 맞았거나 수혈을 받은 경우
  • 백혈병, 림프종, 기타 악성 종양이 있는 경우
  • 임신
  • 과거에 알레르기 반응이나 과민반응을 일으켰던 백신은 재접종 하지 않는다
  • 접종 전 1년 이내에 경련이 있었던 경우(열성경련은 제외)
예방접종 전 주의할 사항
  • 소아의 건강 상태를 가장 잘 알고 있는 보호자가 데리고 온다
  • 집에서 체온을 측정하고 온다.
  • 모자보건수첩 또는 예방접종수첩을 반드시 지참하여 접종 기록을 남겨야 한다.
  • 접종 전날 목욕을 시키고 청결한 의복을 입히고 데리고 온다.
  • 예방접종 하지 않을 소아는 데리고 오지 않는다.
예방접종 후 주의할 사항
  • 접종 후 20~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관찰한다.
  • 귀가 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한다.
  • 접종 당일과 다음 날은 과격한 운동을 하지 않는다.
  • 접종 부위는 청결하게 한다.
  •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며 고열, 경련이 있을 때에는 곧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한다.
  • 아기는 반드시 바로 눕혀 재운다.

예방접종 이상반응 종류 및 보상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의 종류
이 표는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의 종류를 백신종류, 흔한 이상반응,  드문 이상반응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백신종류 흔한 이상반응 드문 이상반응
BCG 국소반응① 화농성림프절염, BCG 골염, 전신파종성BCG감염증
B형간염 국소반응, 발열 아나필락시스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DTaP)② 국소반응, 발열, 두통, 무력감 지속적인 울음 (3시간 이상), 경련③, 저긴장성 저반응성 에피소드 (HHE), 아나필락시스, 뇌병증④, 상완신경염
폴리오 국소반응 -
Hib 국소반응, 발열 -
폐렴구균 (단백결합) 국소반응, 발열, 근육통 -
폐렴구균 (다당질) 국소반응, 발열 -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MMR)⑤ 국소반응, 발열, 두통, 발진, 관절통 열을 동반한 경련, 혈소판감소증, 아나필락시스, 뇌병증④
수두 국소반응 열을 동반한 경련
일본뇌염 (불활성화 백신) 국소반응, 발열, 근육통, 구토, 과민성반응 신경계반응( 뇌염, 뇌병증④, 말초신경증)
일본뇌염 (약독화 생백신) 국소반응, 발열, 발진 -
인플루엔자 (불활성화 백신) 국소반응, 발열 아나필락시스, 길랑-바레증후군, 눈호흡증후군 (Oculo-respiratory syndrome)
장티푸스 국소반응 -
신증후군출혈열 국소반응, 발열, 권태감, 구역질 -
A형간염 국소반응, 권태감, 피로 -
로타바이러스 보챔, 일시적 설사나 구토 -
사람유두종바이러스 (HPV) 국소반응,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
수막구균 국소반응, 무기력 아나필락시스, 길랑-바레증후군 (단백결합백신 접종후)
대상포진 국소반응 -
  • ① 접종 부위의 발적, 붓기, 통증 등으로 가장 흔한 이상반응이며, 대부분 2-3일 이내에 호전
  • ② 전세포 백일해백신(DTwP)과 비교하였을 때 개량 백일해백신(DTaP)에서 이상반응 더 적음, 국내에서는 DTaP만 사용
  • ③ 경련은 대부분 열을 동반하며, 위험도는 나이와 관련 있음(4개월 미만의 영아는 위험도가 훨씬 적음)
  • ④ 비록 뇌병증이 홍역이나 일본뇌염, DTP 백신에 대한 드문 이상반응에 포함되긴 하지만, 이런 백신이 뇌병증을 일으킨다는 확증은 없음, 추후 더 많은 과학적 검토가 필요함
  • ⑤ MMR 중증이상반응 중 아나필락시스를 제외하고 나머지 이상반응은 1차 접종을 완료한 대상자에게는 발생하지 않음
  • 예방접종 등에 따른 피해의 국가보상 범위 : 진료비 및 정액 간병비, 장애일시보상금, 사망일시보상금 및 장제비
  • 보상신청 유효기간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이 발생한 날로부터 5년 이내
신청대상이 되는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이 표는 신청대상이 되는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을 예방접종의 종류, 이상반응의 범위,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예방접종의 종류 이상반응의 범위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DTaP, Tdap)디프테리아, 파상풍(Td)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DTaP-IPV)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DTaP-IPV/Hib)
1. 아나필락시스 24시간 이내
2. 뇌염, 뇌증 7일 이내
3. 위팔신경총 말초신경병증 28일 이내
4. 국소 이상반응 7일 이내
5. 그 밖에 접종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이상반응 기한 없음
6. 제1호부터 제5호로 인한 후유증 기한 없음
폴리오(IPV) 1. 아나필락시스 24시간 이내
2. 국소 이상반응 7일 이내
3. 그 밖에 접종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이상반응 기한 없음
4. 제1호부터 제3호로 인한 후유증 기한 없음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MMR) 1. 아나필락시스 24시간 이내
2. 뇌염, 뇌증 21일이내
3.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7-30일
4. 만성 관절염 42일 이내
5. 국소 이상반응 7일 이내
6. 그 밖에 접종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이상반응 기한 없음
7. 제1호부터 제6호로 인한 후유증 기한 없음
결핵(BCG) 1. 림프절 종창(지름 1.5cm 이상) 1년 이내
2. 골염, 골수염 6개월 이내
3. 전신 파종성 비씨지 감염증 6개월 이내
4. 국소 이상반응 6개월 이내
5. 그 밖에 접종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이상반응 기한 없음
6. 제1호부터 제5호로 인한 후유증 기한 없음

업데이트 날짜 : 2023-07-25 11:40:08

자료담당자
보건소   출산지원   054-930-8145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