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건사업

비만사업

  • 홈 아이콘
  • 보건사업
  • 건강증진사업
  • 비만사업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
  • 성주군 페이스북바로가기
  • 성주군 트위터바로가기

비만이란?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를 의미한다.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게 아니라 몸에 지방이 너무 많은 것이다.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임상적으로 BMI(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가 30.1 이상인 경우, 현재체중이 이상체중을 20%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비만의 원인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에너지 대사의 이상 등이 있다. 내분비 질환이나 약제 등에 의한 비만(2차성 비만)을 제외한 일반적인 비만(원발성 비만)은 여러가지 원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겠지만 에너지 섭취계의 이상과 에너지 소비계의 이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면, 단순히 식탐이 많고, 게을러서가 아니라 의학적인 질환으로 다양한 병인이 연구되고 있다.

  • 에너지 섭취계의 이상
    • 원인은 과식과 섭식 행동 이상이 있다. 과식은 에너지 섭취계의 양적인 문제로 1994년 렙틴이 발견된 이후, 최근 각종 섭식 촉진 물질과 섭식 억제 물질들이 발견되면서 단순히 인격적인 문제가 아니라 다양한 섭식 조절 물질이 관련된 질환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 섭식 행동 이상
    • 에너지 섭취계의 질적인 문제 아직 불분명한 점이 많지만 에너지 영양소의 구성비를 들 수 있다. 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구성비로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탄수화물 과잉이 비만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적당한 지방 섭취와 함께 단백질 공급을 늘리도록 많이 이야기 하고 있으나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지방질의 소화·흡수 정도에 따라 소장 상부에서 분비되는 GIP(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라는 물질은 고지방식이 비만을 일으키는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 졌다. 그 밖에 당지수(glycemic index)가 높은 음식, 빨리 먹기, 아침 결식, 야식 증후군 등이 비만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섭식 행동 이상이며, 패스트푸드점이나 편의점의 이용 증가도 에너지 섭취계의 질적인 문제의 하나이다.
  • 에너지 소비계의 이상
    • 베타3아드레날린 수용체(β3-AR) 이상을 들 수 있다. 베타3아드레날린 수용체는 내장지방에서 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갈색지방조직에서는 열 생산을 촉진한다. 베타3아드레날린 수용체(β3-AR) 이상을 가진 사람은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이 적고, 식사요법이나 운동요법에 대한 반응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비만의 종류

비만은 원인에 따라서, 단순 비만과 증후성 비만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순 비만은 과식과 운동 부족이 그 원인이며, 증후성 비만은 내분비, 시상하부성, 유전, 전두엽 및 대사성 등으로 발생한다. 비만으로 인한 질병에는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고증성지방혈증, 고혈압 등이 있다. 비만의 치료에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약물용법 등이 있다.

비대면 체지방 감량 프로그램 운영

  • 대상 : 지역주민(체지방률에 따라 상담, 방문 접수)
  • 내용
    • 기초혈액검사, 체성분검사 실시
    • 모바일 앱을 통해 1:1 코치 배정하여 운동 및 영양 교육 실시
  • 문의사항 : 054)930-8180, 8195(보건소 통합건강관리실)

업데이트 날짜 : 2022-04-15 11:52:26

자료담당자
보건소   건강증진   054-933-8132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