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에는 이곳에 큰 우물이 있었으므로 이물방 또는 내물방이라 불리어졌다.조선조에 와서는 가천방으로 개칭하였다가 고종32년 (1895) 지방관제개정에 의하여 가천면이라 하여 심천,은학,신당,창리,중평,천동,천서,구정,산성,학산,궁항,장대,삼존,상범림,하범리,점촌,아전,오리,마수,내사부,상사부,하사부,전동,정동,갈동,상적리,하적리,신촌,화전,상죽곡,하죽곡,대흥,장산,웅수,동계,도원의 37개동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금수면의 영천리와 영파면의 중산동 보남동의 일부와 금릉군 증산면의 고방리를 병합하여 영천,창천,금봉,법전,용사,신계,화죽,마수,동원의 9개동으로 개편 관할하였다가 1917년에 영천동을 금수면에 넘겨주었다. 광복후 1952년 8월에 8개동 13개 분동을 두었다.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 때에는 대가면 중산동을 편입시켜 9개 법정리에 14개 행정리로 구성 되어있다. 동으로 대가면,서로 금릉군 증산면과 경남 거창군 가북면,남으로 수륜면,북으로 금수면과 접계 하고 있으며 남서방에 가야산,독용산과 형제봉이 높이 솟아 있어서 산지가 많고 동방과 남방에 약간의 평지가 있다. 농산물은 주곡과 특용작물로 참외재배가 성하고 교통은 성주,김천,고령을 연결하는 도로가 있다.
업데이트 날짜 : 2023-01-01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