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소개

기본현황

  • 홈 아이콘
  • 면소개
  • 기본현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
  • 성주군 페이스북바로가기
  • 성주군 트위터바로가기

행정구역

이 표는 행정구역을 구분, 리동, 자연부락, 반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구분 리동 자연부락
벽진면 법정 행정 36 74
9 24

면적

이 표는 면적을 계, 전, 답, 임야, 기타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구분 임야 기타
벽진면 62.79㎢ 3.54 9.90 43.33 6.02

인구 및 가구

2023.06.30 현재

이 표는 인구 및 세대수를 구분, 가구수, 인구(계,남,녀), 인구밀도(㎢), 가구당인구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구분 가구수 인구 인구 밀도(㎢) 가구당인구
벽진면 1,728 3,024 1,576 1,448 48.2 1.75

교육시설

2023.6.30 현재

이 표는 교육시설을 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교수 학생수 학교수 학생수 학교수 학생수 학교수 학생수
2 48 1 30 1 18 - -

명칭유래

별뫼 부족성읍국(部族城邑國)이 형성되어 벽진가야동맹국으로 발전. 1914년 운정 명암면(明岩面)을 통합하여 벽진면이라 칭함.

자연환경

벽진면은 성주군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성주군의 뒷벽인 별뫼[성산(星山):비지산(斐旨山):걸수산(乞水山) 현 명칭 빌무산:784m]로 김천시와 접경하고 동편은 초전면, 남쪽은 성주읍과 대가면, 서남으로는 금수면과 인접한다. 북부는 산악지대이고 빌무산(斐旨山)에서 발원된 이천(伊川)이 중남부에 비옥한 충적평야를 이루며 동남으로 꿰뚫어 흐른다. 교통은 면소재지를 중심으로 동서로 30번 국도와 남북으로는 지방도와 군도가 김천과 초전, 대가 등지로 연결되어 있다. 시설농업의 선진화로 소득의 약진을 이루고 있다.

마을연혁

  • 기원전 1100년경부터 벽진가야의 옛터로 발전해 가야동맹국의 중요한 역할을 한 현장이다.
  • 562년 신라에 영합되어 제한된 지역에 명맥만의 벽진군으로 신라말까지 이어졌다.
  • 923년 (신라 경명왕 7년:고려 태조 6년) 7월 신라말 왕권몰락으로 벽진군의 장군(군주:토호) 양문(良文)은 영지를 고려에 귀부하기로 하고 그의 생질 주환(主奐)을 원윤(元尹:고려 국초에 태봉의 관제를 본떠서 정한 문무의 관호)으로 했다.
  • 940년 ▶ (고려 태조 23년) 벽진군과 성산군(고령 성산면)을 통합해서 공식적인 경산부(京山府)로 됐다. 이 무렵을 전후해 벽진에는 아래의 3개방이 있었다.
    • (1)풀골(粥谷)방 [가암(伽巖), 운정(雲亭), 자산(紫山), 용암동(龍巖洞)]
    • (2)밝간(明間)방 [해평(海平), 봉계(鳳溪), 매수동(梅水洞)]
    • (3)바위(巖回)방 [외기(外基), 봉학동(鳳鶴洞)]

업데이트 날짜 : 2023-07-21 14:53:25

자료담당자
벽진면     054-930-7852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