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석 사이에 웅크리고 앉아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소지품 등으로 머리와 몸을 보호하면서 잠시 동안 자리에 머물러 있습니다.
머리 위에 큰 조명기와 같은 것이 있다면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면서 그 장소를 벗어나고 사람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한 곳으로 갑자기 몰리게 되면 사고의 우려가 있으니, 안내에 따라 대피합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아야 합니다. 만약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면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신속하게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합니다. 엘리베이터 안에 갇혔을 때는 인터폰이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합니다.
거동이 불편하거나 지체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혼자서 행동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함께 대피합니다. 휠체어나 보행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퀴를 잠그고 몸을 앞으로 숙이고 소지품 등으로 머리와 목을 보호합니다. 만약 움직일 수 없을 때는 조금이라도 안전한 장소에서 도움을 기다립니다.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 간판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머리와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환자의 반응 확인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를 외치면서 환자의 반응을 확인합니다.
119 신고
환자의 의식(반응)이 없으면 구체적으로 사람을 지목하여 119 신고를 요청하고,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져오도록 부탁합니다.
호흡확인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10초 이내로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준비합니다.
가슴압박 30회 시행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으로 환자의 가슴 압박점을 찾아 30회 가슴압박을 실시합니다.(압박깊이: 5cm, 압박속도: 분당 100~120회)
기도 개방
인공호흡을 위해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서 환자의 기도를 개방합니다.
인공호흡 2회 시행
환자의 코를 막은 다음, 구조자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시킨 후에 환자의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1초 동안 숨을 불어 넣습니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합니다.
회복자세
환자의 호흡이 회복되었으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합니다.
가슴압박 위치
성인과 소아 심정지 환자에서 가슴압박의 위치는 가슴뼈의 아래쪽 1/2입니다.
자동심장충격기(AED)
심장충격기 켜기
심장충격기는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합니다. 심폐소생술 시행 중에 심장충격기가 도착하면 지체 없이 시행해야 합니다. 심장충격기의 전원 버튼을 누릅니다.
두 개의 패드 부착
패드 1: 오른쪽 쇄골 아래
패드 2: 왼쪽 젖꼭지 아래의 중간 겨드랑이선에 부착합니다.
심장리듬 분석
장충격기가 심장리듬을 분석하는 동안에는 환자에게 닿지 않게 떨어집니다. 심장충격이 필요하면 “심장충격이 필요합니다” 라는 음성지시와 함께 자동으로 충전되고 충전 중엔 가슴압박을 실시합니다. 심장분석이 필요 없는 경우는 심폐소생술을 계속 실시합니다.
심장충격 실시
심장충격이 필요한 경우에만 심장충격 버튼이 깜박입니다. 깜박이는 버튼을 눌러 심장충격을 실시합니다.
※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고 실시합니다.
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
심장충격을 실시한 후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합니다. 119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반복 실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