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검정
1. 토양검정의 필요성
- 병원에서 병을 고치듯 농경지에 대한 정기진단으로 건전한 비옥도 유지관리
- 적지 적작목 적정시비로 인한 환경오염 및 연작장해 방지
- 비료의 오 남용을 막고 노동력 및 영농비 절감
2. 토양검정절차
검정대상지선정 -> 시료채취 -> 건조분쇄 -> 평량 시약 조제 -> 정밀분석 -> 처방서 발부교육
3. 토양시료채취요령
- 아래 그림과 같이 채취지점의 표토를 약간 걷어내고 작토층 15cm 정도 깊이로 필지당 10 ~ 20지점을 채취하여 고루 섞어 깨끗한 봉투에 500g정도 넣음
- 봉투에 넣은 시료는 채취지점의 지번, 지적, 심을 작물명, 연작년수 등을 기재하고 연락처를 명기하여 농업기술센터 에 의뢰
- 필지별 시료채취 예시
4. 성주 시설참외 토양정밀검정 결과(‘17~’21년 평균치)
성주 시설참외 토양정밀검정 결과(‘17~’21년 평균치) 에 대하여 읍면, 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양이온(칼륨, 칼슘, 마그네슘) EC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구분 |
산도 (pH) |
유기물 (g/kg) |
유효인산 (mg/kg) |
양이온(cmol+/kg) |
EC |
칼륨 |
칼슘 |
마그네슘 |
분석치(평균) |
7.3 |
17 |
501 |
0.92 |
11.1 |
3.2 |
2.7 |
적정범위 |
6.0-6.5 |
20-30 |
350-450 |
0.7-0.8 |
5-6 |
1.5-2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