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닫기

서부권

회연서원과 무흘구곡

회연서원 (7).jpg 회연서원의 견도루 전경사진 회연서원의 향현사의 전경사진 회연서원 회연서원 회연서원 EAF952B742284A57B51474BE50084C61.jpg 1451D140093E494EB2D164EF9D65B70B.jpg 020148FADACA4FC39524656D696E1F4F.jpg DCA8A89C067A42EB97E0A755A10E460B.jpg 5C4E584E2C3547898ACB8DAD495F1B54.jpg A00C976F7CFF47149C54F043A3767074.jpg 3300F5D47A5643AC83E023D22FCB50A9.jpg 9821062010194AF6AD49136047DE76A7.jpg C61E0409542C471AB58F25FD5AC3136E.jpg B6AB00E036E746C6A352D5F9D94A3D45.jpg A56A7C45946F4DBBBD5C1C73128E2BCF.jpg EAF952B742284A57B51474BE50084C61.jpg
  • 주소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동강한강로 9
  • 구분 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51호(1974년 12월 10일)
  • 문의문화예술과(문화유산) 930-6782

  • 상세내용
    이 서원은 조선 선조 때의 대유학자이며 문신인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그의 사후인 인조 5년(1627) 제자들이 뜻을 모아 세운 서원이다.
    서원이 위치하고 있는 곳은 선조 16년(1583)에 정구가 회연초당(檜淵草當)을 세우고 인재를 양성하던 곳이다. 서원의 주향(主享)인 한강 정구는 외증조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도학을 전수하고, 그 기반 위에 퇴계학과 남명학을 통합하여 새로운 학통을 세워 실학의 연원을 확립하였으며, 우주 공간의 모든 것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경서, 병학, 의학, 역사, 천문, 풍수지리 등 모든 학문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예학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 대학자였다. 그는 평소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았으나, 국가의 부름을 거절하지 못하여 부득이 관직에 나올 경우에는 주로 외직을 맡아 선정을 베풀었으며, 내직으로 우승지(右承旨), 공조참판(工曹參判),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다. 사후에 문목(文穆)의 시호(諡號)가 내려 졌으며 영의정(領議政)에 추증(追贈)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구(舊)사당, 강당, 동·서재, 신(新)사당, 전사청(典祀廳), 현도루(見道樓) 등이 있으며, 정구가 직접 조성한 서원 앞뜰의 백매원(百梅園)에는 신도비(神道碑)가 서 있으며, 그 밖에 한강 정구와 관련된 유물, 유품이 전시되어 있는 유물 전시관과 향현사(鄕賢祠), 관리사가 있다. 사당에는 한강 정구를 주향(主享),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를 종향(從享)으로 모시고 향현사에는 신연(新淵) 송사이(宋師頤), 용재(容齋) 이홍기(李弘器), 육일헌(六一軒) 이홍량(李弘量), 모재(茅齋) 이홍우(李弘宇), 동호(東湖) 이서(李) 등 한강 정구와 동년배로서 지역민들의 존경을 받았던 인물들의 위판이 봉안되어 있다.
  • 길찾기 및 주변정보
  • 사진/영상
자료담당자
관광과   관광마케팅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