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닫기

서부권

무흘구곡 수백 년전 그 모습 그대로의 품격을 지닌 비경

무흘구곡 제 1곡 봉비암 무흘구곡 제 1곡 봉비암 무흘구곡 제 1곡 봉비암 무흘구곡 제 1곡 봉비암 무흘구곡 2곡 한강대 무흘구곡 2곡 한강대 무흘구곡 2곡 한강대 무흘구곡 3곡 배바위 무흘구곡 3곡 배바위 무흘구곡 3곡 배바위 무흘구곡 4곡 선바위 무흘구곡 4곡 선바위 무흘구곡 4곡 선바위 무흘구곡 5곡 사인암 무흘구곡 5곡 사인암 무흘구곡 5곡 사인암
  • 주소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
  • 구분 제1곡 봉비암, 제2곡 한강대, 제3곡 배바위, 제4곡 선바위
  • 문의관광진흥과 054-930-8371~3

봉황이 비상하는 모습을 지닌 봉비암을 제1곡으로 시작하여 회연서원 기암괴석으로 연출되는 절벽, 마음의 욕심을 비우고 가야할 듯 한 배바위 정자, 선바위 등 한강 정구선생이 느꼈던 그 풍광을 수백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에도 느낄 수 있는 성주군의 숨겨진 보물같은 자원입니다.

  • 상세내용
    무흘구곡은 총 35.7㎞에 이르는 자원으로 경북 성주군의 수륜면․금수면부터 김천시의 중산면까지 이어져 있다. 그 중 1~4곡은 성주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5~9곡은 김천시에 입지하고 있다.
    제1곡 봉비암(鳳飛岩), 제2곡 한강대(寒岡臺), 제3곡 무학정(舞鶴亭), 제4곡 입암(立巖), 제5곡 사인암(捨印巖), 제6곡 옥류동(玉流洞), 제7곡 만월담(滿月潭), 제8곡 와룡암(臥龍巖), 제9곡 용추(龍湫)로 구분되어 있다.
    대가천의 맑은 물과 주변 계곡의 기암괴석, 수목이 절경을 이루어 조선시대 성주가 낳은 대유학자인 한강 정구 선생(1543~1620)이 중국 남송(南宋)시대 주희(朱熹)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본받아 7언절구의 시를 지어 노래한 곳으로 경관이 아주 빼어나 행락 피서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 길찾기 및 주변정보
  • 사진/영상
자료담당자
관광과   관광마케팅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