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주문화관광
성주여행
성주여행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 10경
권역별 관광지
서부권
북부권
중부권
여행코스추천
성주 일일 코스
성주 1박2일 코스
성주 별고을길
가야산 선비산수길
성주문화행사
성주문화행사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 축제
2023 성주참외&생명문화축제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전체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전통사찰
성주역사
성주이야기
성주인물
성주성씨
성주성씨유래
지역민성씨유래
성주여행도우미
성주여행도우미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관광지도
관광책자 신청
문화관광해설사
문화관광해설사 신청하기
교통정보
모바일 스탬프투어
오감만족 체험
공공wifi 정보
성주먹고자기
성주먹고자기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별고을 오랜가게
성주모범음식점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음식점 위생등급제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안심식당
성주음식 고방찬
성주음식 고방찬
성주대표 향토음식점
성주숙박
일반
한옥체험/템플스테이
야영장
펜션,민박
성주시장
성주전통시장
성주군산지농산물유통센터
성주더알아보기
성주더알아보기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갤러리
우수 특산물
여행후기
바로가기
성주군청
성주문화예술회관
통합검색
메뉴열기
무엇이 궁금하세요?
검색어입력
검색
닫기
성주문화관광
성주군청 바로가기
성주여행
성주여행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 10경
권역별 관광지
서부권
북부권
중부권
여행코스추천
성주 일일 코스
성주 1박2일 코스
성주 별고을길
가야산 선비산수길
성주문화행사
성주문화행사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 축제
2023 성주참외&생명문화축제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전체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전통사찰
성주역사
성주이야기
성주인물
성주성씨
성주성씨유래
지역민성씨유래
성주여행도우미
성주여행도우미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관광지도
관광책자 신청
문화관광해설사
문화관광해설사 신청하기
교통정보
모바일 스탬프투어
오감만족 체험
공공wifi 정보
성주먹고자기
성주먹고자기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별고을 오랜가게
성주모범음식점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음식점 위생등급제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안심식당
성주음식 고방찬
성주음식 고방찬
성주대표 향토음식점
성주숙박
일반
한옥체험/템플스테이
야영장
펜션,민박
성주시장
성주전통시장
성주군산지농산물유통센터
성주더알아보기
성주더알아보기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갤러리
우수 특산물
여행후기
닫기
성주문화행사
성주여행
성주문화행사
성주여행도우미
성주먹고자기
성주더알아보기
국가지정문화재
성주 축제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성주역사
성주이야기
성주인물
성주성씨
성주문화행사
국가지정문화재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Pause
Play
기본정보
주소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식물원길 17-56
구분
보물 제1647호(2010년 2월 24일)
문의
문화예술과(문화유산) 930-6782
길찾기
상세내용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은 고종 6년(1219) 6월에 부석사에서 판각한 것으로 판각 장소와 연대가 분명한 책판으로는 가장 빠른 시기에 속한다. 고려시대의 책판으로 현존하는 유물로는 고종 23년(1236)에서 고종 38년(1251) 사이에 판각된 고려 재조대장경인 팔만대장경판(국보)과 불교관련 서적의 책판이 대부분이고, 일반도서의 책판은 수종에 불과하다. 이 책판의 성격은 인간이 범백사(凡百事)를 행할 때에 날짜에 따라 정해진 길흉(吉凶)이 있다고 보는 성명학(星命學, 운명학) 및 오행사상(五行思想)에 따라, 사안 별로 길일과 흉일을 월별로 나누어 횡간식(橫看式)으로 기록한 것으로, 택일에 참고하기 위하여 관련되는 각종 유서(類書)에서 휘집한 선택서(選擇書)의 일종이다. 이 책판은 비록 1장에 불과하나 당시 대찰인 부석사에서 원당주(願堂主)가 이름을 밝히며 이러한 책판을 간행하였다는 것은 포교의 방식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유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판각시기와 판각장소 및 판각자가 밝혀진 책판으로는 초기의 것에 속할 뿐 아니라, 그 내용도 일반인의 생활과 관련된 사안들이라는 점에서 13세기 초의 불교학, 서지학 및 민속학적으로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된다.
길찾기 및 주변정보
전체(
)
관광지(
)
음식(
)
숙박(
)
사진/영상
목록
자료담당자 안내 및 만족도조사
자료담당자
관광과 관광마케팅
오류 및 불편신고
top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만족도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
매우불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