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닫기

문화재자료

성주 한강종택

한강종택 전경 사진 한강종택에 대한 설명글 사진 한강종택 전경 사진 한강종택 전경 사진 한강종택 전경 사진 한강종택 전경 사진 한강종택 전경 사진 한강종택 전경 사진 한강종택 전경 사진 한강종택 전경 사진
  • 주소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한강길 27
  • 구분 도지정 문화재자료 제614호(2013년 9월 12일)
  • 문의문화예술과(문화유산) 930-6782

  • 상세내용
    이 가옥은 수륜면 수성리 갖밀마을 내 우측 마을 뒷산 산록에 의지해 위치하고 있으며, 약 400여 년 간 세거해온 청주정씨 문목공파(文穆公派)의 종택으로 최초 건립연대는 확인할 수 없으나 여러 차례의 보수와 개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종택의 주인공인 정구(1543~1620)는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으로 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하였다. 그는 이황의 대표적인 제자로 퇴계학을 크게 발전시킨 동시에 많은 제자를 양성하여 일군의 학파를 형성하였다. 그의 학통은 영남뿐만 아니라 이후 허목-이익-정약용으로 이어지면서 실학의 연원을 확립하였다. 『심경발휘(心經發揮)』·『오선생예설분류(五先生禮說分類)』·『한강집(寒岡集)』 등 많은 저술이 있다. 성주의 회연서원(檜淵書院) 등 다수의 서원에 제향 되었다.
    종택의 건립년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현재의 건물은 1800년대의 것으로 추정되어지며, 사당은 기존의 사당을 철거하고 1990년에 중건하였다. 가옥의 구성은 '一'자형의 사랑채와 안채를 '二'자형으로 배치하였는데, 근년에 사랑채 좌후측으로 아래채를 달아내어 전체적으로 튼 'ㄷ'자형의 배치를 이루게 하였으며, 정구의 위패를 봉안한 부조묘(不?廟)가 별도 곽내에 위치한다. 안채는 정면 5칸·측면 1칸 반 규모의 맞배기와집이며, 사랑채는 정면 2칸·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집으로 되어 있다. 사당은 정면 3칸·측면 2칸 규모의 맞배기와집으로 정침의 우후측에 자리 잡고 있다. 사당의 주위에는 방형의 토석담장을 둘렀으며, 전면 담장 사이에는 2칸 규모의 평대문을 세워 출입케 하였다.
  • 길찾기 및 주변정보
  • 사진/영상
자료담당자
관광과   관광마케팅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