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주문화관광
성주여행
성주여행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 10경
권역별 관광지
서부권
북부권
중부권
여행코스추천
성주 일일 코스
성주 1박2일 코스
성주 별고을길
가야산 선비산수길
성주문화행사
성주문화행사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 축제
2023 성주참외&생명문화축제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전체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전통사찰
성주역사
성주이야기
성주인물
성주성씨
성주성씨유래
지역민성씨유래
성주여행도우미
성주여행도우미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관광지도
관광책자 신청
문화관광해설사
문화관광해설사 신청하기
교통정보
모바일 스탬프투어
오감만족 체험
공공wifi 정보
성주먹고자기
성주먹고자기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별고을 오랜가게
성주모범음식점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음식점 위생등급제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안심식당
성주음식 고방찬
성주음식 고방찬
성주대표 향토음식점
성주숙박
일반
한옥체험/템플스테이
야영장
펜션,민박
성주시장
성주전통시장
성주군산지농산물유통센터
성주더알아보기
성주더알아보기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갤러리
우수 특산물
여행후기
바로가기
성주군청
성주문화예술회관
통합검색
메뉴열기
무엇이 궁금하세요?
검색어입력
검색
닫기
성주문화관광
성주군청 바로가기
성주여행
성주여행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 10경
권역별 관광지
서부권
북부권
중부권
여행코스추천
성주 일일 코스
성주 1박2일 코스
성주 별고을길
가야산 선비산수길
성주문화행사
성주문화행사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 축제
2023 성주참외&생명문화축제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전체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전통사찰
성주역사
성주이야기
성주인물
성주성씨
성주성씨유래
지역민성씨유래
성주여행도우미
성주여행도우미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관광지도
관광책자 신청
문화관광해설사
문화관광해설사 신청하기
교통정보
모바일 스탬프투어
오감만족 체험
공공wifi 정보
성주먹고자기
성주먹고자기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별고을 오랜가게
성주모범음식점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음식점 위생등급제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안심식당
성주음식 고방찬
성주음식 고방찬
성주대표 향토음식점
성주숙박
일반
한옥체험/템플스테이
야영장
펜션,민박
성주시장
성주전통시장
성주군산지농산물유통센터
성주더알아보기
성주더알아보기
별고을 성주군에서 다양한 추억, 빛나는 추억, 즐거운 추억을 함께 만들어요!
성주갤러리
우수 특산물
여행후기
닫기
성주문화행사
성주여행
성주문화행사
성주여행도우미
성주먹고자기
성주더알아보기
도지정문화재
성주 축제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성주역사
성주이야기
성주인물
성주성씨
기념물
전체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전통사찰
성주문화행사
기념물
월회당
Pause
Play
기본정보
주소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성주로 2495
구분
도지정 기념물 제 48호(1984년 5월 21일)
문의
문화예술과(문화유산) 930-6782
길찾기
상세내용
이 건물은 조선 중종 11년(1516)에 원정(圓亭) 여희림(呂希臨, 1481~1553)이 제자들에게 여씨향약(呂氏鄕約)을 강론하고 이를 시행하기 위한 강회소(講會所)로 창건한 건물이다.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는 여희림이 여씨향약을 실시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조정에 알렸는데, 그 이듬해인 중종 12년(1517)에 전국에 여씨향약을 시행하라는 왕명이 내려졌다. 이로써 전국적으로 향약이 널리 행해지게 되었다.
여씨향약의 발상은 중국 송나라 때 섬서성(陝西省) 남전현(藍田縣)에 사는 여씨(呂氏) 문중에서 도학(道學)으로 이름 높던 여대충(呂大忠)·여대방(呂大防)·여대균(呂大鈞)·여대림(呂大臨) 4형제가 문중과 향리(鄕里)를 위해 자치행동규범으로 만든 것인데, 남전현에서 시작되었다 하여 '남전향약(藍田鄕約)'이라 불리기도 했다. 향약의 주요 내용은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등의 조약(條約)으로 되어 있다. 그 뒤 주자(朱子)가 수정을 해 '주자증손여씨향약(朱子增損呂氏鄕約)'을 만들었다.
월회당의 일곽의 구성은 앞면 7칸·옆면 1칸 규모의 월회당, 앞면 3칸·옆면 1칸 규모의 전사청(典祀廳), 앞면 4칸·옆면 1칸 규모의 고직사(庫直舍)와 솟을삼문으로 이뤄져 있다.
월회당이란 이름은 월일강회(月日講會)라는 단어에서 따온 것인데, 한달에 한번씩이라도 모여 향약강회를 가져야 된다라는 훈계조로 만든 이름으로, 그 강회에 누구든지 참석할 수 있게 했다.
길찾기 및 주변정보
전체(
)
관광지(
)
음식(
)
숙박(
)
사진/영상
목록
자료담당자 안내 및 만족도조사
자료담당자
관광과 관광마케팅
오류 및 불편신고
top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페이지 만족도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
매우불만
TOP